[5/4 투자매매일지] 한국알콜, 셀리버리, 에스티팜, 신풍제약, SK바이오랜드 2020년 5월 4일은 지난주 목요일 석가탄신일, 금요일 근로자의 날 휴장 이후 오래간만에 열린 주식 시장이었으며 5월 5일 화요일은 또 어린이날이기 때문에 황금연휴 중간에 있는 샌드위치 데이였다. 필자도 오래간만에 HTS 화면으로 마음껏 단타 주식거래를 해보고 싶어서 회사 휴가를 썼다. 주말 동안에는 5월 4일에 어떤 종목을 매매할지에 대해 공부도 하고 나름의 대책도 세우면서 빨리 월요일이 오기만을 기다렸다. 아마 필자와 비슷한 사람이 많았을 것이다. 그래서 코스피에서 개인 순매수가 1조 7천억원이나 나온 것일까.. 아무튼 지난 휴일 동안 여러 가지 악재 속에서 -2%대로 약세 출발하였고 외국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들의 엄..
HTS 주식거래 필수 화면 세팅 노하우 (KB증권 / H-able 기준) 이번 글은 초보 주식 투자자를 대상으로 주식거래를 할 때 복잡해 보이는 HTS(Home Trading System) 화면과 기능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면 좋을지를 필자가 사용하는 H-able 기준으로 설명해보겠다. HTS에는 100가지가 넘는 기능들이 있기 때문에 이것들을 이번 글에서 다 설명할 수는 없고 모니터 하나를 기준으로 주식거래를 할 때 띄워서 봐야하는 필수 화면에 대해서만 설명해보겠다. 직장인들은 주로 모바일 MTS(Mobile Trading System)를 이용할 수밖에 없겠지만 PC로 하는 HTS 세팅 노하우를 익히고 거래를 시작해보면 신세계를 경험할 것이다. 투자를 할 때 판단에 도움이 되는 화면 정보를 눈에 익히면 ..
세계 1위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Boeing)'의 추락과 투자 분석 미국의 상징이자 매년 10조를 버는 초우량 기업, 고 배당주로 투자자들에게 항상 인기가 많았던 세계 최고의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Boeing)'의 주가가 사상 최대의 폭락이 나왔다. 날개 없는 추락이 나온 이유 2가지는 보잉의 메인 항공기 737 MAX가 기체결함으로 인해 2번의 연쇄 추락 사고로 악재가 시작되었으며, 이번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여행 항공산업 수요 위축이 정점을 찍었다. 불과 약 1년 전 2019년 2월 기준만 해도 737 MAX의 총 주문대수는 5,012대였으며 수주잔량이 6,436대일 정도로 호황이었다. 하지만 연쇄 추락으로 인해 MAX 737의 생산은 중단되었고 주문 취소가 나오면서 1대당 1000억 원 하는..
2020년 4월 V자 반등 주식시장을 돌아보며.. 지난 3월에 전 세계가 코로나 19로 인해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증하고 실물경제가 무너지면서 전 세계 증시가 수직하락하였다. 3월 험난했던 주식시장 회고 글에서도 말했지만 이미 증시는 코스피 2200대에서 1400대까지 1997년 IMF, 2008년 금융위기에 버금가는 역사적 폭락이 나왔고 4월에는 증시가 어느 정도 반등을 줄 거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이렇게까지 완벽한 V자 반등을 이뤄낼 줄은 몰랐다. 사실 1차 반등은 미국과 한국이 제로금리를 선언하고 무제한 양적완화를 통해 엄청난 양의 돈을 풀어서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생각했고 분명 2차 하락이 올 것이라고 생각해서 현금 대비를 하였으나 현재까지 봤을 때는 틀린 선택이었다. 역시 주식은 항상 선행한..
삼성 바이오로직스 투자 매력과 바이오시밀러 산업의 이해 우리나라 최고의 기업 삼성(Samsung) 하면 떠오르는 분야에는 반도체, 휴대폰, 가전, 인공지능 AI, 5G 등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삼성이 미래의 먹거리 산업으로 가장 주목하는 '바이오'와 삼성이 가장 잘하는 '생산 능력'이 합쳐져 만들어진 삼성 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 기업에 대해 알아보자. 코스피/코스닥 시장 바이오 대형주 중에 가장 대표적인 종목을 2가지 뽑으라면 당연히 '삼성 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일 것이다. 이 2개 종목의 공통점은 '바이오시밀러'이며 이 둘 간에는 특별한 스토리가 있다. 먼저, 바이오시밀러란 무엇일까? 쉽게 이야기 하면 '복제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원가가 비싼 오리지널 약에 비해 복제..
유상증자 의미와 4가지 방법, 주가에 호재일까 악재일까? 지난번 무상증자 글에 이어서 이번엔 유상증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Q) 증자의 정의는? 먼저 증자란 주식을 발행해서 회사의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회사의 자본금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자금 조달이 필요한데 이때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무상증자와 유상증자이다. 신주 발행을 하느냐 아니면 타인으로부터 자금을 조달받느냐에 따라 나뉘게 된다. Q) 유상증자란? 유상증자는 영어로 Paid-in Capital Increase 로서 말 그대로 자본을 유입 조달시켜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해서 유상증자는 기업이 돈이 필요할 때 회사 주식을 추가로 발행함으로써 기존 주주들 또는 제3자에게 그 주식을 팔아서 자본금을 늘리는 것이다. ..
무상증자 의미와 권리락, 주가에는 호재일까 악재일까? 유상증자 글에 이어 무상증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번에 헬릭스미스가 3800억 규모의 1주당 0.25 무상증자를 결정했다는 소식이 들렸다. 종목을 보유하다 보면 문득 유상증자 또는 무상증자 뉴스가 들려오곤 하는데 정확히 어떤 의미이고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것인지 쉽고 정확하게 알아보자. 권리락에 대해서까지 꼭 끝까지 읽어보길 바란다. Q) 증자의 정의는? 먼저 증자의 뜻은 주식을 발행해서 회사의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회사의 자본금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자금 조달이 필요한데 이때 사용하는 두가지 방법이 무상증자와 유상증자이다. 신주 발행을 하느냐 아니면 타인으로부터 자금을 조달받느냐에 따라 나뉘게 된다. Q) 무상증자란? 무상증..
아마존 제국 전략의 핵심 - '아마존 프라임(Amazon Prime)' 필자가 생각하기에 아마존 기업이 추구하는 아마존 제국의 미래를 딱 한 단어로 표현한다면 바로 '아마존 프라임(Amazon Prime)'이다. 아마존이 꿈꾸는 세상과 전략은 무엇이며 왜 아마존 프라임이 그 핵심인지를 지금부터 한번 살펴보자. 먼저 코로나 19로 인해 수혜를 입을 업종 3가지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첫번째로는 온라인 이커머스가 떠오를 것이고 두 번째로는 재택근무가 늘어남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고 세 번째로는 바깥 외출을 삼가는 집콕족들이 늘어나면서 넷플릭스 같은 OTT 업종일 거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면 지금까지 얘기한 3개를 모두 합쳐보면 어떤 기업이 떠오르는가? 바로 '아마존(Am..
주식시장의 거래량과 거래대금 의미와 중요성 주식 시장은 매수자와 매도자 간의 사고파는 '거래'를 통해 가격이 형성되는 시장이다. 따라서 주식시장을 이해하고 단타/스켈핑과 같은 투자기법을 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래량과 거래대금을 이해해야만 한다. 필자도 MTS/HTS 창을 띄우고 주식을 할 때 가장 많이 보는 지표가 거래량과 거래대금이며 그중에서도 거래대금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거래량과 거래대금의 의미는 무엇이고 그 차이와 중요성을 알아보자. 거래량과 거래대금의 차이 먼저 '거래(Trading)'라는 용어는 주식을 매수하고 매도하여 주고 받는 것을 말한다. 무언가를 사고팔면 시장에서는 "거래가 되었다"라고 한다. 그래서 거래량은 몇주를 사고팔았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주식이 현재 6만 ..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Z세대 미디어 선호 트렌드 필자는 언제 어디서든 노트북만 있으면 돈을 벌 수 있는 디지털 유목민을 지향하는 밀레니얼 세대이다. 어린 시절엔 아날로그 감성의 TV를 보면서 자랐고 대학생 이후부터 스마트폰이라는 디지털 기기를 다루게 되어 인터넷이라는 온라인 공간에서 검색/구매/소통하는 것이 익숙하다. 쿠팡, 네이버, 아마존 등 온라인 커머스에서 물건을 살 때는 이미지와 텍스트 기반의 상품설명을 읽고 해당 리뷰를 확인하면서 물건을 살지 말지 결정을 한다. 지금은 필자와 같은 3040세대들이 구매력을 사진 시대이다. 하지만 디지털 시대는 더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1995년 이후 태어난 Z세대 '디지털 네이티브' 친구들이 자라나 곧 소비의 주체가 되기 때문에 이들을 이..